궁금증해결/이상한 질문들

[주식] 외국인? 기타외국인 무슨 차이일까?

몽총한몽이네 2025. 3. 24. 15:35
반응형

📈 주식에서 말하는 ‘외국인’과 ‘기타외국인’, 도대체 뭐가 다를까?

주식 투자하다 보면 증권사 HTS나 MTS에서 ‘외국인’과 ‘기타외국인’이 따로 표시되는 걸 본 적이 있을겁니다.
예를 들어 NH투자증권이나 키움증권 같은 곳에서는 이렇게 구분해서 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✔ 외국인 순매수: +100억
✔ 기타외국인 순매수: +30억

  • “기타외국인은 외국인이 아닌가?”
  • “그럼 외국인 항목에 기타외국인이 포함된 거야?”
  • “혹시 한국 국적도 포함돼 있는 건가?”

오늘은 이 헷갈리는 개념을 속 시원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

✅ 주식에서 말하는 '외국인'이란?

  • 말 그대로 대한민국 국적이 아닌 투자자들입니다.
  • 외국인 투자자 등록을 한 외국인 또는 외국 법인
  • 여기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주체들이 포함:
    • 외국계 연기금
    • 글로벌 투자은행
    • 해외 자산운용사
    • 대형 외국인 펀드

1️⃣ 외국계 연기금 (Foreign Pension Funds)

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자금력을 가진 연기금 기관들,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는 경우가 많음

 

기관명 국가 특징
🇳🇴 노르웨이 정부연기금 (GPFG) 노르웨이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펀드, 장기 가치 투자 중심
🇨🇦 캐나다 연기금 투자위원회 (CPPIB) 캐나다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, 한국 주식시장에도 꾸준히 유입
🇳🇱 네덜란드 ABP 연기금 네덜란드 유럽 대표 공무원 연기금
🇺🇸 캘리포니아 공무원 연금 (CalPERS) 미국 미국 최대 공적 연금 펀드 중 하나

2️⃣ 글로벌 투자은행 (Global Investment Banks)

단기 트레이딩부터 대규모 자산 운용까지 하는 외국계 IB. 증권사 창구를 통해 대량 매매


기관명 국가 특징
🇺🇸 골드만삭스 (Goldman Sachs) 미국 트레이딩, M&A, 자산운용까지 모두 관여
🇺🇸 모건스탠리 (Morgan Stanley) 미국 글로벌 자산 매수에 공격적인 전략 보유
🇬🇧 HSBC 투자은행 영국 아시아 투자 비중 높음
🇨🇭 UBS 스위스 한국 주식에도 매수/매도 흐름 자주 등장

3️⃣ 해외 자산운용사 (Global Asset Management Firms)

주로 ETF, 뮤추얼펀드, 연금펀드 등을 통해 장·단기 투자. 기관이지만 매매 흐름이 일반 외국인보다 복잡함.


기관명 국가 특징
🇺🇸 블랙록 (BlackRock) 미국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, ETF (iShares) 브랜드로 유명
🇺🇸 뱅가드 그룹 (Vanguard) 미국 패시브 운용에 강점, 장기보유 전략
🇺🇸 피델리티 (Fidelity) 미국 액티브 운용에 초점, 개별 종목에 직접 투자
🇩🇪 도이치 자산운용 (DWS) 독일 유럽계 대표 운용사

4️⃣ 대형 외국인 펀드 (Large Foreign Hedge Funds, Sovereign Funds 등)

공격적 매매도 가능하고 종종 공매도 주체로도 등장함.

기관명국가특징
기관명 국가 특징
🇺🇸 브리지워터 (Bridgewater Associates) 미국 세계 최대 헤지펀드, 레이 달리오 창립
🇺🇸 시타델 (Citadel) 미국 퀀트 기반 트레이딩과 대규모 단타 매매로 유명
🇸🇬 테마섹 홀딩스 (Temasek Holdings) 싱가포르 싱가포르 정부 투자회사, 장기 전략 중심
🇸🇦 PIF (Public Investment Fund)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주도 미래 산업 투자에 집중

💡 참고 꿀팁:

한국 주식 시장에서 이들 기관은 대부분 ‘외국인 투자자’ 항목으로 잡히고,
증권사 HTS에서는 매매 주체에 “골드만삭스”, “UBS” 같은 창구명이 보이는 경우도 많아!


✅ 그럼 '기타외국인'은 누구인가?

‘기타외국인’이라는 표현이 다소 애매하지만,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주체들이 포함됩니다.

  • 외국인 개인 투자자
  • 외국계 증권사 위탁 계좌를 통해 매수한 경우
  • 외국 소재 중소법인 등 대형 기관이 아닌 외국 투자자

즉, 기관급이 아닌 외국인 투자자들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


❗️중요 포인트: '외국인'과 '기타외국인'은 서로 다른 항목이다!

✅ NH투자증권, 키움증권 등에서 ‘외국인’과 ‘기타외국인’을 따로 보여줄 경우
👉 ‘외국인’ 수치에는 ‘기타외국인’이 포함되지 않습니다.

즉, 이런 식으로 보면:

text
복사편집
외국인 순매수: +120억 기타외국인 순매수: +30억 → 전체 외국인 순매수 = 150억

🤔 그럼 ‘기타외국인’은 한국인일 수도 있어?

아니요.
‘기타외국인’은 한국 국적이 아닌 투자자입니다.
다만, 외국인 기관이 아닌 외국인 개인, 외국 법인, 외국계 증권사 위탁 계좌 같은 소규모 외국계 투자자들입니다.

📌 헷갈리기 쉬운 포인트!

 

질문 답변
기타외국인은 한국인이야? ❌ 아니요, 국적상 ‘외국인’입니다.
외국인 항목에 기타외국인이 포함돼? ❌ 구분되어 표기된 경우엔 포함 안 돼요.
외국인과 기타외국인의 행동 패턴이 다를까? ✅ 보통 ‘외국인’은 기관 중심, ‘기타외국인’은 단기 트레이딩도 많습니다.

📊 왜 이렇게 구분해서 보여주는 걸까?

  • 투자자 분석을 더 정밀하게 하기 위해서예요.
  • 외국인 기관은 중장기 투자, 섹터별 로테이션 전략 등
  • 기타외국인은 개인 단타, 위탁 매매, 단기 수급 등이 섞여 있죠.

이걸 구분해서 보면,

  • "외국인 기관이 들어왔다 → 중장기 수급 유입 신호"
  • "기타외국인이 몰렸다 → 단기 테마 매매 가능성"

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.


🧠 마무리 요약

 

구분 외국인 포함여부 특징
외국인 외국인 기관, 대형 펀드 ❌ (기타외국인 미포함) 장기 수급, 의미 있는 매수
기타외국인 외국인 개인, 외국계 증권사 위탁 등 단기 매매, 비기관 수급

✍️ 마무리 한 줄 요약:

주식에서 '외국인'과 '기타외국인'은 모두 외국 국적 투자자지만,
매매 주체가 기관인지, 개인인지에 따라 따로 집계됩니다.

반응형